교사와 교육

[스크랩] 교내 수업장학의 실제

싸춘(사이언스춘) 2010. 12. 29. 14:05

 

Ⅰ. 들어가는 말

 

학교교육은 계획적 교육활동으로 그 주 영역은 교육과정에 의한 교수학습과 인성지도를 위한 생활지도,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이다. 이런 교육활동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전문적 기술지도 활동이 수업장학이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교사의 질’이란 교사의 사명감, 교육에 대한 열의와 수업의 질, 즉 수업기술의 수준을 뜻하는 것으로, 교사의 잠재능력을 얼마나 높이느냐 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교사 자신에 달려 있으며, 또한 학교 경영의 책임자이면서 수업장학을 담당하는 교장과 교감에게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본다.

‘수업방법에는 왕도가 없다.’라는 말에서 보듯이 교사는 수업에 최선의 노력을 해야 한다. 학교교육의 생명은 수업이고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의 효과를 높여야 하고, 수업의 효과를 높이려면 수업장학의 질을 높여야 한다.

효과적인 수업장학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 학교구성원 상호간에 이해와 신뢰 및 협조의 바탕 위에서 교사들이 수업장학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인식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들이 수업장학에 대한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인식을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바꿀 수 있는가 하는 점도 수업장학을 활성화하고 교수-학습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Ⅱ. 수업장학의 기능과 유형

 

1. 수업장학의 기능과 원리

수업장학(instructional supervision)은 교사들의 수업기술 향상을 위하여 교장․교감(외부 장학요원․전문가․자원인사 포함)이 주도하는 개별적이고 체계적인 성격이 강한 지도․조언활동이다. 이의 구체적인 형태로는 임상장학, 마이크로티칭, 수업연구(교장․교감 주도), 초임교사 대상 수업 지도․조언활동 등이 있다.

수업장학은 행정 중심에서 학교 중심으로, 이론 중심에서 지도 중심으로, 상하 관계에서 동료관계로, 가르치고 배우는 형식에서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형식으로 그 기본적 방향이 전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업장학은 교사들의 필요와 요구, 경험과 능력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가. 수업장학의 기능

와일스와 로벨(Wiles & Lovell)은 수업 장학의 기능으로 목표개발(goal development), 프로그램 개발 및 실현(program development & actualization), 조정(coordination), 동기유발(motivation), 문제해결(problem solving), 전문성 개발(professional development), 교육성과의 평가(eval!uation of educational outcomes), 수행평가(eval!uation of performance)를 들고 있다.

 

나. 수업장학의 원리

1) 교사들은 전문성이 성장하고 있다고 느낄 때 가르치는 일에 더욱 보람을 느낀다.

2) 교사의 가르치는 기술이나 능력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학습되는 것이다.

3) 교사들은 가르치는 일의 전문가로 자주성과 존엄성이 인식될 때 수업장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4) 교사 스스로가 수업장학이 자기의 수업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긍정적 태도를 갖고 있을 때 그 효과가 크다.

5) 교사와 장학담당자 간 상호존중의 관계가 형성될 때 효과적이다.

6) 교사의 수업기술은 계속적인 시연을 통해 숙달된다.

7) 수업장학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8) 수업장학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장학을 담당하는 사람부터 수업장학의 효과를 확신하여야 한다.

9) 수업장학의 과정을 통해서 장학의 업무를 담당한 사람도 지속적으로 장학방법을 개선시켜 나가야 한다.

 

2. 교사 발달(teacher development)과 수업장학

가. 글리크만(Glickman)의 발달적 장학(developmental supervision) : 교사발달 유형에 따라 장학에 있어서 지시적 접근(directive approach), 상호 협동적 접근(collaborative approach), 비지시적 접근(non-directive approach)의 3가지 방법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

나. 버크, 크리스텐센 & 훼슬러(Burke, Christensen & Fessler)의 교사발달 싸이클 모델(teacher career cycle model : TCCM) : 교직이전, 교직입문, 능력구축, 열중․성장, 직업적 좌절, 안정․침체, 직업적 쇠퇴, 퇴직 과정을 보여주는 순환적․역동적 발달모형을 설명

다. 글레트혼(Glatthorn)의 선택적 장학(differentiated supervision) : 교사들의 경험과 능력에 따라서 임상장학, 협동적 동료 장학, 자기장학 및 전통적 장학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제안

라. 이윤식의 교내 자율장학 영역에서의 교사 발달 : 교사의 전문적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 교사의 개인적 발달(personal development), 학교의 조직적 발달(organizational development)으로 구분

 

3. 수업장학의 유형

위의 글래트혼이 제시한 선택적 장학은 수업장학 유형을 잘 반영하고 있다. 선택적 장학은 교사들의 능력에 따라 임상장학(clinical supervision), 협동적 장학(coopera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자기장학(self-directed supervision), 전통적 장학(administrative monitoring) 등의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업장학 유형은 교내 자율장학(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의 유형과 맥을 같이 한다. 교내 자율장학이란 단위 학교가 상위 교육행정 기관 내 장학 담당자의 지도․조언 없이 교장․교감을 중심으로 교사의 교수활동을 개선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노력하는 활동을 말하며, 학교 중심성, 자율성, 협력성, 다양성, 계속성, 자기 발전성 등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가. 임상장학

임상장학은 수업 계획에 관하여 교사가 계획 협의자(수업 연구에 전문적 조예가 있는 자)와 수업을 설계․계획하고 수업을 관찰하며, 관찰자료를 분석하고, 교사에게 관찰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수업개선을 도모하고자 설계된 정밀하고 집중적인 장학방법이다.

 

나. 동료장학

동료장학은 동료교사들이 교육활동의 개선을 위하여 모임이나 짝을 이루어 상호간에 수업 연구․공개활동의 추진이나 공동과제 및 관심사의 협의․연구․추진 등 공동으로 노력하는 협동적 장학과정으로 볼 수 있다. 동학년 교사들 또는 동교과 교사들이 수업연구 과제의 해결이나 수업방법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수업연구․수업공개 활동을 하거나, 교과지도와 생활지도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호 좋은 경험이나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것은 대표적인 동료장학 활동이다. 동학년 교사, 동교과(교과연구회) 교사, 동부서 교사, 부장교사들 또는 관심분야가 같은 동료교사들이 협의회, 소모임, 스터디그룹 등을 통해 공동 과제나 공동 관심사를 협의․연구․추진하는 활동 등도 중요한 동료장학 활동이다.

 

다. 자기장학

자기장학은 교사 개인이 자신의 전문적 발달을 위하여 스스로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는 활동이다. 즉 자기장학은 한 교사가 혼자 독립적으로 자신의 전문적 선정을 위하여 녹음기나 기타 기재를 이용하거나 또는 학생들의 수업반응과 태도를 통해서 자기 자신의 수업과정을 확인하며 연구하는 과정이다.

라. 전통적(약식) 장학

전통적(약식) 장학은 교장․교감이 간헐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학급순시나 수업참관을 통하여 교사들의 수업활동 및 학급경영 활동을 관찰하고 이에 대하여 교사들에게 지도․조언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전통적(약식) 장학은 교장․교감의 계획과 주도하에 전개되는 비공식적인 성격이 강한 활동으로서 다른 형태의 장학에 대하여 보완적이고 대안적인 성격을 갖는다.

마. 자체연수

자체연수는 교육활동의 개선을 위하여 교직원들의 필요와 요구에 터해 교내․교외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학교 자체에서 실시하는 연수활동을 의미한다. 자체연수는 좋은 지식, 기술, 정보, 아이디어, 경험, 도움, 조언 등을 나누어 갖는 수업장학의 중요한 형태이다. 자체연수 방법으로는 강의식 연수, 토의식 연수, 초청강연 연수, 그리고 제반 장학실천 결과의 전파․일반화를 위한 연수 등이 있다.

 

Ⅲ. 수업장학의 절차와 수업분석

 

1. 임상장학(clinical supervision)의 제모형

수업장학의 핵심적인 장학활동인 임상장학 모형으로는 코건(Cogan)의 8단계, 골드해머(Goldhammer)의 5단계, 에치슨과 겔((Acheson & Gall)의 3단계 임상장학 모형 등이 있으며, 이 중 코건(Cogan)의 8단계 임상장학 모형을 살펴보면, 교사와 장학담당자의 관계확립하기(establishing the teacher-supervisor relationship) → 교사와 함께 기획하기(planning with the teacher) → 관찰전략 기획하기(planning the strategy of observation) → 수업 관찰하기(observing instruction) → 교수-학습 과정 분석하기(analyz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es) → 협의회 전략 기획하기(planning the strategy of the conference) → 협의회(the conference) → 새로운 기획하기(renewed planning)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2. 임상장학의 절차

임상장학의 모형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관찰전 협의회

수업의 관찰⋅분석

관찰후 협의회

 

 

 

 

 

 

 

 

 

 

 

 

<그림 1> 임상장학의 3단계 절차 모형

가. 관찰전 협의회

관찰전 협의회 단계는 임상장학을 시작하는 시발점으로, 장학을 담당하는 자와 수업자가 서로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그들이 공동으로 수행하게 될 임상장학에 대한 세부적인 활동을 계획하는 것이다.

관찰전 협의회의 활동을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면, 첫째, 신뢰로운 관계조성, 둘째, 수업연구 과제선정 및 개선방향 논의, 셋째, 학생과 수업에 대한 정보교환, 넷째, 수업관찰 계획수립으로 나눌 수 있다.

 

나. 수업의 관찰⋅분석

이 단계는 장학을 담당한 사람이 수업자의 학급을 방문하여 해당 수업을 관찰하며, 수업분석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관찰 체계표와 각 수업 분석 방법 등에 따라 해당 수업을 관찰할 수 있고 녹음기, 녹화기 혹은 사진기 등으로 수업의 전체나 특정 부분을 녹음하거나 녹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관찰기록된 원자료로부터 해당 수업자의 수업방법과 기술에 있어 어떠한 특징이나 유형이 있는지를 도출하는 일과 수업장학 협의회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 수립이 주요 활동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 관찰후 협의회

관찰후 협의회 단계에서는 수업장학을 위한 협의회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수업을 관찰․기록․분석하여 그것을 토대로 수업자와 수업장학을 담당한 쌍방이 문제점을 밝혀 개선의 방법을 찾는 주요한 활동이 일어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수업자에게 자기의 수업에 대하여 새로운 통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기 위해, 수업자에게 용기와 격려를 주기 위해, 수업자에게 수업방법의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정보를 주기 위해, 이후의 수업장학을 어떻게 할 것인가 등에 관한 협의가 이루어진다.

이 모형에서 중요한 특징의 하나는 이 수업장학이 ‘순환’의 과정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수업장학에서는 단 한번으로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는 없다. 어떤 수업기술을 새롭게 숙달시키거나 개선시켜야 할 경우 ‘관찰전 협의→관찰․분석→관찰후 협의’라는 기본 흐름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수업활동의 주요 분석 기법

수업활동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다양한 기법으로는 플랜더스(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분석법(verbal interaction analysis system), 하이만(Hyman)의 수업중 질의응답 분석법, 터크만(Tuckman)의 수업분위기 분석법, 교실 좌석표를 이용한 분석법(SCORE : Seating Chart Observation Records), 필터(Filter)식 수업분석법, 평정척에 의한 분석법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은 여러 가지 수업활동의 분석방법을 요약해 보면 아래 표와 같다.

 

<표 1> 수업활동 분석방법

분석 방법

주요 내용

언어상호작용 분석법

○수업상황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모든 언어상호 작용을 기록

○10개의 분류항목(교사발언 : 비지시적 발언, 지시적 발언, 학생발언 : 단순 반응과 주도적 발언, 의사소통의 정지상태 등)

○수업결과를 수업자 스스로 확인하고 행동을 제고해 보는데 도움

수업중 질의응답 분석법

○수업은 질의응답 중에 진행, 질의응답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의 수업참여 형태, 수업전략, 수업의 잠재된 계획이 무엇인지 암시받음

○수업중 질의응답 작용을 구조화(structuring), 요청(soliciting), 응답(responding), 반응(reacting)의 네가지로 구분

○Hyman은 수업중 질의응답 유형을 6가지로 제시

수업분위기

분석법

○수업분위기는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됨.

○수업분위기가 긍정적일수록 수업의 효과 및 학업성취도가 향상됨.

○수업분위기 관찰결과는 수업자와 학생들이 형성한 수업분위기가 얼마나 ‘창의적인, 활기있는, 치밀한, 온화한’ 것인가의 범주로 구분

교실 좌석표를 이용한 분석법

○학급의 좌석표를 이용하여 과업집중이나 교사와 학생의 언어흐름, 이동양식을 파악하는 방법

○몇 장의 종이로 학급활동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고 교사가 항상 사용하는 좌석표를 이용하므로 자료의 해석이 용이하며, 비교적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

필터식

수업분석법

○수업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 수업의 여러 가지 사실과 정보를 통과시켜 관찰 분석하는 방법

○수업관찰 분석 필터의 종류에는 교사의 발문, 학생의 발언, 학생의 행동반응, 학습자료, 판서 등이 있음.

평정척에 의한 분석법

○평정척에는 기술평정척, 표준평정척, 숫자평정척, 체크리스트 평정척 등이 있음.

○학생 또는 교사에게 적용되는 체크리스트의 결과를 요약하는 것은 수업개선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됨.

 

이밖에도 수업관찰과 분석에 대한 질적인 접근법이 있는데 이를 ‘문화기술적 방법’이라고도 하며, 교실생활의 의미, 그 해석과 설명, 교실생활의 중요성과 영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 수업사태의 이면을 면밀히 조사하려는 접근법이다. 이러한 방법에는 중요한 사태파악 접근법, 비언어적 접근법, 일화기록에 의한 분석, 녹음과 녹화에 의한 분석 등이 있다.

 

Ⅳ. 수업장학 지도의 실제

 

1. 교실수업개선을 위한 교내 자율장학 추진 계획(양원초)

-목표 지향적인 선택적 교내 자율장학-

 

가. 목적

1) 교수․학습 방법 혁신으로 21세기 선도하는 새로운 교육 이론과 실제에 부합하는 교내 자율장학을 실시한다.

2) 교사의 자질 향상과 최선의 교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 현장의 발전적 방법을 모색하여 새로운 교육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초등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지니도록 한다.

3) 초임 교사가 교직 전반에 대한 적응력과 전문성을 높여서 교수-학습 과정의 원활한 이행으로 합리적인 학급 경영을 도모하도록 한다.

 

나. 방침

1) 교내 자율장학은 수업방법 개선의 목적의식을 갖고 전교사가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2) 교내 자율장학은 교장, 교감 및 교사가 장학 요원이 되고 수업장학, 임상장학, 자기 장학, 동료 장학, 약식 장학 등으로 구분하여 실시한다.

3) 모든 학년이 적어도 연 6회 자율장학을 받도록 한다.

4) 학부모 공개는 1회를 하며 수요일 3교시에 3개 학년이 수업을 공개하며 다른 학년 교사와 학부모는 공개 수업 후 참관록을 작성 제출한다.

5) 짝수 달에는 미리 예고된 같은 날짜와 시간에 전 학년 전 학급이 약식 장학을 받는다.

6) 수업 지도안은 수업 1주일 전에 학교장의 결재를 마치고, 수업 공개 3일전까지 전 교사에게 배부한다.

7) 본교 저경력 교사 임상장학의 대상인 초임 교사는 교육 경력 3년 이하 교사로 한다.

8) 교내 장학위원은 학교장, 교감, 교무, 연구, 해당학년 학년부장교사로 구성한다.

 

다. 세부 실천 계획

1) 양원 교내 자율장학 운영 내용

유형

운영 내용 및 방법

시기

교사

담당

수업장학

(약식장학)

․1교사 연 1회 학부모 수업 공개(3개 학년씩)

-학습지도안 작성, 자율장학 협의록 작성

․1교사 연 5회 수업 공개

5월중

 

짝수 달

전교사

 

전교사

교육과정부장

 

교감

임상장학

․신규교사 학습지도안 작성 및 수업공개(2회)

-학습지도안 작성, 자율장학 협의록 작성

- 지도교사(김광숙, 홍성규, 박지원)

4월, 10월

3년 이하

교사

교감

교육과정부장

동료장학

․교과 교육연구회 별 주제 연구 활동

․교과 교육연구회별 주제 발표 연수회 운영

3, 5, 7, 9, 11월

11월

전교사

주제발표자

교육과정부장

자기장학

․대학원 수강 및 개인별 주제 연구

․직무연수 및 각종 연수 참가

․연구․시범학교 참관

연중

연중

공문 참고

전교사

전교사

이○○

교육과정부장

자체연수

․교육 전문가 초청 자체연수 (4회)

․교내 전문가 연수

4, 6, 10, 11월

세부계획에 의함

전 교원

발표교사

교육과정부장

교육과정부장

현장연수

․교직원 현장 연수(학기당 1회)

4, 10월

전 교원

교육과정부장

요청장학

․수업개선연구교사 지도조언을 위한 장학위원 요청(2회)

6, 9월

수업개선

연구교사

교육과정부장

 

2) 양원 교과 교육연구회 구성

교과

학년

국어

수학

사회

도덕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실과

영어

특활

재량

바른생활

슬생

즐거운 생활

1

권○○

권○○

이○○

박○○

이○○

○○

2

곽○○

김○○

정○○

김○○

곽○○

○○

3

문○○

전○○

이○○

문○○

이○○

이○○

전○○

이○○

이○○

○○

이○○

4

이○○

윤○○

임○○

임○○

최○○

윤○○

임○○

이○○

최○○

○○

○○

5

이○○

조○○

정○○

김○○

홍○○

정○○

이○○

조○○

○○

○○

○○

6

이○○

이○○

박○○

김○○

한○○

한○○

이○○

이○○

○○

○○

박○○

< 활동 내용>

가) 교육 이론 및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한 교재 연구를 한다.

나) 각 교과별로 자율연수회 및 시범 연구학교 참관에 우선 참가시킨다.

다) 교과별 학습 지도안 모형을 연구 개발하여 수업에 활용한다.

라) 1인 1 연구 계획을 세워 연구하는 풍토를 정착시킨다.

마) 격월(3월, 5월, 7월, 9월, 11월)에 5회 정도 협의회를 갖는다.

바) 교과 협의록을 작성하여 누가철 한다.

 

3) 양원 교내 연수 운영 계획

내용

주관

내용

주관

 

3

12

학교 교육 과정 운영 계획

교육과정부

9

3

2학기 학교 운영 계획

교육과정부

19

제7차 교육과정 연수

교육과정부

19

체육 실기 연수

생활체육부

28

동학년 연수일

교육과정부

10

11

3차 전문가 초청 연수

교육과정부

29

강서 초등교과 연구회 참석

교육과정부

4

11

교직원 현장 연수

교무기획부

24

교직원 현장 연수

교무기획부

17

1차 전문가 초청 연수

교육과정부

31

동학년 연수일

교육과정부

25

동학년 연수일

교육과정부

5

17

4․5․6학년 학년공개수업

교육과정부

11

5

수행평가 연수

교육과정부

23

1․2․3학년 학년공개수업

교육과정부

12

4차 전문가 초청 연수

교육과정부

30

동학년 연수일

교육과정부

29

동호인 활동(동학년 연수일)

교육과정부

6

11

2차 전문가 초청 연수

교육과정부

12

3

교육과정 운영 자체 평가

교육과정부

10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요령

교무기획부

13

수업개선연구교사 요청장학

교육과정부

21

교직원 현장 연수

교무기획부

18

동학년 연수일

교육과정부

2008

1

3-4

2007 학교교육과정 워크숍

학교교육과정 위원회

7

9

1학기 교육과정 운영 평가

교육과정부

 

4) 교육 전문가 초청 자체연수 운영 계획

차례

연수 주제

시기

초청강사

담당

1

독서교육의 실제

4월

별도계획에 의함

○○

2

논술교육의 실제

6월

3

생활지도의 실제

10월

4

교육평가

11월

 

 

2. 저경력 교사 임상장학 계획

 

가. 목적

저 경력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습지도 및 학급운영 방법에 관한 수업장학을 실시하여 조속한 교육 현장적응과 전문성을 갖게 하고자 한다.

 

나. 방침

1) 3년 미만의 저경력 교사들은 수업장학을 실시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수업 장학을 위한 지도안은 1주일 전에 교감선생님의 지도․협의 후 결재를 받는다.

3) 수업 장학 시 그 시간의 수업 장학 관점을 미리 제시하여 학년부장과 함께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4) 저경력 교사는 각종연수 및 연구수업발표회에 우선 참관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다. 세부 실천계획

1) 대 상 : 저경력(3년 이하)교사 - 김○○, 송○○, 조○○

2) 수업장학 일주일전에 수업 지도안을 결재 받도록 한다.

3) 수업장학 일정

날짜

내용

교사명

장소

2007. 04. 13(금, 2교시)

국어과 수업연구

김○○

교실

2007. 04. 13(금, 3교시)

미술과 수업연구

송○○

미술실

2007. 04. 13(금, 4교시)

영어과 수업연구

조○○

어학실

2007. 10. 18(목. 2교시)

사회과 수업연구

김○○

교실

2007. 10. 18(목. 3교시)

수학과 수업연구

송○○

교실

2007. 10. 18(목. 4교시)

국어과 수업연구

조○○

교실

4) 참관자 : 교장, 교감, 지도교사, 저경력 동료 교사

5) 수업 당일 15시에 수업반성 협의회와 간담회를 갖는다.

6) 협의회시 연수 내용

가) 교수 학습 방법 :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교수-학습방법-교수용어․교사의 자세, 수업형태, 생활지도, 기본 학습 훈련, 교실환경관리 등

나) 학생 생활지도 및 동료 및 대학부모 관계

다) 교사의 확고한 교육관 및 복무자세

Ⅳ. 교내 수업장학의 활성화를 위한 교감의 장학 마인드 제고

 

가. 수업장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

교감은 교내 수업장학 연간 운영계획과 장학 일정표에 관심을 갖고 계획을 차질없이 실천할 수 있도록 내실 있게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한번 수립된 장학 계획과 일정을 되도록 변경하거나 바꾸지 말고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감으로써 교사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

교내 수업장학활동에 대해 교감이나 교사가 무관심하거나 소극적으로 운영하다보면 장학활동 자체가 무기력하게 운영되고 그 효과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교감은 학교 구성원들이 교내 장학활동의 계획수립이나 활동 내용 및 그 운영방법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이끌어 나가야 한다.

나. 수업 장학력을 제고해 나가야 한다.

교내 수업장학 활동의 주된 목표는 교사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통한 수업의 질적인 향상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장학 담당자인 교감 스스로 교사를 지도할 수 있는 수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장학 능력을 갖춰야 한다.

즉 교감은 교육과정이나 각 교과의 특성, 수업모형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아울러 수업관찰이나 수업분석 등과 같은 수업장학이나 임상장학의 절차 및 기법에 대한 깊이있는 식견을 지님으로서 교사에 대한 수업 장학력을 제고해 나가야 한다.

더불어 다양한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방법 및 내용을 숙지하고,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수업협의회도 수업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 교사와의 상호신뢰를 통해 레포를 형성해야 한다.

교감은 봉사하는 리더(servant leader)로서의 자세로 교사들과 학교 교육활동에 대해 마음을 터놓고 지속적인 대화나 의사소통을 자유롭게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서로 신뢰하는 분위기 속에서 레포(rapport)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

교내 수업장학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감과 교사간에 수업과 관련된 지도조언이나 의견교환 등을 가로막는 마음의 벽을 먼저 허물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교사가 스스로 다가오기만을 기다릴 것이 아니라 교감이 먼저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바탕으로 교사와의 상호신뢰와 협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라. 교사의 수준에 맞는 맞춤식 장학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교사 발달의 수준은 교사 개개인에 따라 모두 다르기 때문에 교감은 교사의 경험이나 흥미, 요구 등에 깊이 있는 관심을 갖고 교직 경력이나 전문성 수준에 따른 맞춤식 장학활동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예컨대 교사의 발달 수준에 따른 발달적 장학이나 경력별에 따라 임상장학이나 동료장학 및 자기 장학을 적절히 적용하는 선택적인 장학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교사에 대한 맞춤식 장학활동은 교사와 교감 상호간의 만남의 장을 확대하고 상호 신뢰로운 분위기 속에서 교사의 자기 장학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마. 교사의 동기를 유발시켜 스스로 노력하도록 의욕을 불러일으켜 주어야 한다.

교내 수업장학이 효과를 거두려면 장학의 주체인 교사가 장학활동에 대한 강한 의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교내장학을 자율적으로 추진하려는 교사 스스로의 잠재 능력을 극대화시키는 자기 실현 욕구가 학교현장에서 특히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교감은 허쯔버그(Herzberg)의 설명과 같이 소속감, 발전 의욕, 일 그 자체, 성장 가능성, 책임감, 인정감 등과 같이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인 만족감을 가져오는 동기 요인을 불러일으켜 줌으로써 교사 스스로 수업개선에 대한 강한 의욕을 지닐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바. 비공식적인 교내 수업장학 활동을 활성화해 나가야 한다.

교내 수업장학은 공식적인 활동 못지 않게 다양한 형태의 비공식적인 활동이나 협의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교감은 교사들이 학교내에 존재하는 비공식적인 모임이나 대화를 자연스럽게 전개해 나갈 수 있도록 허용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비공식적인 교내 수업활동은 전반적인 학교운영이나 학습지도 및 생활지도 뿐만 아니라 교사 개인적인 동기유발이나 갈등 해소에 도움을 주어 공식적인 장학활동에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 수업장학 관련 우수사례나 수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단위 학교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장학 활동은 인적 또는 물적 자원의 측면에서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교감은 인근 학교나 지구별 자율장학 협의회의 장학 활동에 관심을 갖고 다른 학교에서 추진하고 있는 장학이나 수업 우수사례와 참신한 아이디어를 수집하여 이를 교사들이 함께 공유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다른 학교의 우수사례나 새로운 교육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교사들에게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고 이를 수업이나 교육 활동에 적극 활용하려는 강한 의욕을 지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 동료 교사간 멘토링 장학을 적극 도입하고 컨설팅 장학을 확대하는 등 새로운 장학 시스템을 전개해야 한다.

교내 장학은 교사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 따라서 교감은 교사들의 교수ㆍ학습 능력을 개발하고 나아가 전문성 신장을 위해 이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그들의 요구를 실제적이고 전문적으로 해결해 줄 수 있도록 동료교사간 멘토링(mentoring)장학이나 컨설팅(consulting) 장학과 같은 새로운 장학 시스템을 적극 추진해 나아가야 한다.

특히 컨설팅 장학은 동료교사 또는 외부 자원인사 간에 이루어지는 내용 중심의 장학, 내 일로 여겨지는 장학, 일대일의 비공개적 활동, 함께 문제를 해결해가는 장학, 조언으로서의 장학 활동을 통해 기존 장학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해소하는데 크게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Ⅳ. 맺는 말

 

앞으로 장학에 있어서 중요한 발전방향은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한 수업장학의 활성화이다. 교사들이 교과지도 및 학생지도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학교현장을 중심으로 하여 함께 생활하고 있는 교장, 교감 그리고 교사들 간의 상호이해와 신뢰 및 협조를 바탕으로 한 자율적인 수업장학 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수-학습 방법 개선과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장학활동은 교사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교육청 중심의 장학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학교 수준에서의 자율적인 수업장학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수업장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장학 담당자인 교장과 교감의 수업지도 기술과 전문성을 높이고 수업 장학력과 마인드를 제고해 나가는 데 힘써야 할 것이다.

 

◆ 토의과제 ◆

 

1. 수업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마인드를 제고하고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2. 교내 수업장학의 활성화를 위한 학교현장의 우수사례를 소개하고 이를 일반화할 수 있는 방안을 토의해 보자.

 

<참고 문헌>

1. 강영삼, 장학론(서울 : 세영사), 1994.

2. 변영계 외 1인, 수업장학과 수업분석(서울 : 학지사), 2005.

3. 이윤식, 장학론(서울 : 교육과학사), 1999.

4. 이창형, “교내장학의 자율적 활성화 방안 탐색”,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논총 제25집, 2005.

5. 주삼환, 장학의 이론과 기법(서울 : 학지사), 2003.

6. John T. Lovell & Kimball Wiles, Supervision For Better Schools, Englewood Cliffs : Prentice-Hall Inc., 1983. 1.

 

출처 : 이창형(서울양원초등학교 교장)

 

출처 : 희 망 샘
글쓴이 : hj3259 원글보기
메모 :